4. 참가 팀
2012년 AFC컵에는 총 33개 팀이 참가했으며, 이 중 3개 팀은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합류했다.[4] 서아시아 지역에서는 20개 팀,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13개 팀이 참가했다. 대한민국 팀은 참가하지 않았다.
31개 팀(서아시아 19개 팀, 동아시아 12개 팀)이 조별 리그에 직행했고, 2개 팀(모두 서아시아)이 플레이오프를 거쳐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 직행 팀: 서아시아 지역 (A–E조) |
---|
팀 | 참가 자격 | 참가 횟수 | 최근 참가 |
---|
알이티파크ar |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패자 | 1회 | 없음 |
네프치 페르가나uz |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패자 | 2회 | 2009 |
알카디시야 | 쿠웨이트 프리미어리그 2010-11 우승 | 3회 | 2011 |
카즈마 | 쿠웨이트 아미르 컵 2011 우승 | 2회 | 2010 |
쿠웨이트 SC | 2011 AFC컵 준우승 | 4회 | 2011 |
알웨흐다트 | 요르단 리그 2010-11 우승 요르단 FA컵 2010-11 우승 | 7회 | 2011 |
알파이살리 | 요르단 리그 2010-11 준우승 | 6회 | 2011 |
알슈르타 | 시리아 프리미어리그 2010-11 우승 (AFC컵 플레이오프로 결정)* | 1회 | 없음 |
알이티하드 | 시리아 컵 2011-11 우승 | 3회 | 2011 |
알자우라 | 이라크 프리미어리그 2010-11 우승 | 2회 | 2009 |
아르빌 | 이라크 프리미어리그 2010-11 준우승 | 3회 | 2011 |
알수와이크 | 오만 리그 2010-11 우승 | 3회 | 2011 |
알오루바† | 오만 리그 2010-11 준우승 | 3회 | 2011 |
알아헤드 | 레바논 프리미어리그 2010-11 우승 레바논 FA컵 2010-11 우승 | 6회 | 2011 |
사파 베이루트 | 레바논 프리미어리그 2010-11 준우승 | 3회 | 2009 |
살가오카르 | I리그 2010-11 우승 인도 페더레이션 컵 2011 우승 | 1회 | 없음 |
이스트 벵골 | I리그 2010-11 준우승 | 6회 | 2011 |
알오루바 자비드 | 예멘 리그 2010-11 우승 | 1회 | 없음 |
VB 스포츠 클럽 | 몰디브 리그 2011 우승 몰디브 FA컵 2011 우승 | 5회 | 2011 |
예선 플레이오프 참가 팀: 서아시아 지역 |
---|
알틸랄*** | 예멘 리그 2010-11 준우승 | 3회 | 2011 |
빅토리 SC | 몰디브 리그 2011 준우승 | 5회 | 2011 |
조별 리그 직행 팀: 동아시아 지역 (F–H조) |
---|
팀 | 참가 자격 | 참가 횟수 | 최근 참가 |
---|
촌부리th |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플레이오프 패자 | 3회 | 2011 |
키치 | 홍콩 1부 리그 2010-11 우승 | 2회 | 2008 |
시티즌 | 홍콩 시니어 챌린지 실드 2010-11 우승 | 1회 | 없음 |
아레마 | 인도네시아 슈퍼 리그 2010-11 준우승 | 1회 | 없음 |
켈란탄 | 말레이시아 슈퍼 리그 2011 우승 | 1회 | 없음 |
트렝가누 | 말레이시아 FA컵 2011 우승 | 1회 | 없음 |
양곤 유나이티드 | 미얀마 내셔널 리그 2011 우승 | 1회 | 없음 |
아야예와디 유나이티드 | 미얀마 내셔널 리그 2011 준우승 | 1회 | 없음 |
템피니스 로버스 | S.리그 2011 우승 | 5회 | 2011 |
홈 유나이티드 | 싱가포르컵 2011 우승 | 6회 | 2009 |
송람 응에안vi | V-리그 2011 우승 | 2회 | 2011 |
나비뱅크 사이공vi | 베트남 컵 2011 우승 | 1회 | 없음 |
조별 리그는 각 4팀씩 8개 조(A~H조)로 나뉘어 진행되며, A~E조는 서아시아, F~H조는 동아시아 지역으로 구성된다. 전 대회와 달리 몰디브는 서아시아로 변경되었고, 말레이시아가 복귀했으며, 미얀마 클럽이 AFC 프레지던트컵에서 AFC컵으로 새롭게 참가하게 되었다.[21] 각 조 상위 2개 팀은 16강에 진출한다.
16강전은 조별 리그 1위 팀의 홈에서 단판으로 진행된다.
5. 조별 예선
2012년 AFC컵 조별 예선은 2012년 3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었다.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조별 리그에는 32개 팀이 참가했다. 각 4팀씩 A조부터 H조까지 8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으며, A조부터 E조는 서아시아, F조부터 H조는 동아시아 지역으로 편성되었다. 각 조의 상위 2팀이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몰디브는 이전 대회까지 동아시아 지역에 속했으나, 이번 대회부터 서아시아 지역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말레이시아가 복귀하고, AFC 프레지던트컵에 참가했던 미얀마 클럽이 새롭게 참가하게 되었다[21]。
예멘과 시리아 클럽은 국내 정정 불안으로 인해 홈 경기를 국외에서 개최해야 했다.[27]
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조, C조, D조, F조, G조, H조는 하위 섹션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생략)
E조시리아의 알슈르타, 이라크의 알자우라, 레바논의 사파 베이루트, 예멘의 알틸랄이 E조에 속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알슈르타 | 6 | 5 | 0 | 1 | 14 | 6 | +8 | 15 |
알자우라 | 6 | 4 | 0 | 2 | 12 | 5 | +7 | 12 |
사파 베이루트 | 6 | 3 | 0 | 3 | 6 | 7 | -1 | 9 |
알틸랄 | 6 | 0 | 0 | 6 | 1 | 15 | -14 | 0 |
| 알슈르타 | 알틸랄 | 알자우라 | 사파 베이루트 |
---|
알슈르타 | | 3-0 | 3-2 | 3-2 |
---|
알틸랄 | 0-2 | | 0-2 | 1-2 |
---|
알자우라 | 2-1 | 5-0 | | 1-0 |
---|
사파 베이루트 | 0-2 | 1-0 | 1-0 | |
---|
5.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알카디시야 | 6 | 3 | 1 | 2 | 14 | 7 | +7 | 10 |
알수와이크 | 6 | 3 | 1 | 2 | 8 | 9 | -1 | 10 |
알파이살리 | 6 | 2 | 3 | 1 | 10 | 7 | +3 | 9 |
알이티하드 | 6 | 1 | 1 | 4 | 5 | 14 | -9 | 4 |
| 알파이살리 | 알이티하드 | 알카디시야 | 알수와이크 |
---|
알파이살리 | | 1-1 | 1-1 | 2-3 |
---|
알이티하드 | 1-4 | | 1-0 | 0-2 |
---|
알카디시야 | 1-2 | 5-2 | | 2-0 |
---|
알수와이크 | 0-0 | 2-0 | 1-5 | |
---|
2012년 AFC컵 A조에는 알카디시야(쿠웨이트), 알수와이크(오만), 알파이살리(요르단), 알이티하드(시리아)가 속해 있었다.
경기 결과 알카디시야와 알수와이크가 각각 승점 10점으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알카디시야가 조 1위, 알수와이크가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하였다. 알파이살리는 승점 9점으로 3위, 알이티하드는 승점 4점으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예멘ar과 시리아ar 클럽은 국내 정정 불안으로 인해 홈 경기를 국외에서 개최해야 했다.[27]
5. 2.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아르빌 | 6 | 4 | 2 | 0 | 11 | 5 | +6 | 14 |
카즈마 | 6 | 3 | 2 | 1 | 10 | 6 | +4 | 11 |
알오루바 | 6 | 2 | 2 | 2 | 10 | 8 | +2 | 8 |
이스트 벵골 | 6 | 0 | 0 | 6 | 2 | 14 | -12 | 0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알오루바 | | 2-2 | 4-1 | 1-2 |
---|
아르빌 | 2-1 | | 2-0 | 1-1 |
---|
이스트 벵골 | 0-1 | 0-2 | | 1-2 |
---|
카즈마 | 1-1 | 1-2 | 3-0 | |
---|
B조에서는 이라크의 아르빌이 4승 2무(승점 14)로 1위, 쿠웨이트의 카즈마가 3승 2무 1패(승점 11)로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하였다. 예멘의 알오루바는 2승 2무 2패(승점 8), 인도의 이스트 벵골은 6패(승점 0)로 각각 3, 4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예멘과 시리아 클럽은 국내 정정 불안으로 인해 홈 경기를 국외에서 개최해야 했다.[27]
5. 3. C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알이티파크 | 6 | 4 | 2 | 0 | 18 | 7 | +11 | 14 |
쿠웨이트 SC | 6 | 3 | 2 | 1 | 17 | 10 | +7 | 11 |
알아헤드 | 6 | 2 | 1 | 3 | 7 | 11 | -4 | 7 |
VB 스포츠 클럽 | 6 | 0 | 1 | 5 | 9 | 23 | -14 | 1 |
2012년 AFC컵 C조에는 알이티파크(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SC(쿠웨이트), 알아헤드(레바논), VB 스포츠 클럽(몰디브)이 속해 있었다. 조별 리그 결과, 알이티파크가 4승 2무(승점 14점)로 1위, 쿠웨이트 SC가 3승 2무 1패(승점 11점)로 2위를 기록하며 16강에 진출하였다. 알아헤드는 2승 1무 3패(승점 7점)로 3위, VB 스포츠 클럽은 1무 5패(승점 1점)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알아헤드 | | 1-3 | 0-4 | 5-3 |
---|
알이티파크 | 0-0 | | 2-2 | 2-0 |
---|
쿠웨이트 SC | 1-0 | 1-5 | | 7-1 |
---|
VB 스포츠 클럽 | 0-1 | 3-6 | 2-2 | |
---|
5. 4. D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알웨흐다트 | 6 | 4 | 0 | 2 | 15 | 9 | +6 | 12 |
네프치 페르가나 | 6 | 3 | 2 | 1 | 11 | 7 | +4 | 11 |
알오루바 수르 | 6 | 2 | 1 | 3 | 8 | 10 | -2 | 7 |
살가오카르 | 6 | 1 | 1 | 4 | 6 | 14 | -8 | 4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알오루바 수르 | | 4-2 | 0-0 | 1-0 |
---|
알웨흐다트 | 2-1 | | 3-1 | 5-0 |
---|
네프치 페르가나 | 3-1 | 2-1 | | 3-0 |
---|
살가오카르 | 3-1 | 1-2 | 2-2 | |
---|
2012년 AFC컵 D조에는 알웨흐다트(요르단), 네프치 페르가나(우즈베키스탄), 알오루바 수르(오만), 살가오카르(인도)가 속해 있었다. 경기 결과 알웨흐다트와 네프치 페르가나가 각각 1, 2위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5. 5. E조
2012년 AFC컵 E조에는 시리아의 알슈르타, 이라크의 알자우라, 레바논의 사파 베이루트, 예멘의 알틸랄이 속해 있었다. 조별 리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알슈르타 | 6 | 5 | 0 | 1 | 14 | 6 | +8 | 15 |
알자우라 | 6 | 4 | 0 | 2 | 12 | 5 | +7 | 12 |
사파 베이루트 | 6 | 3 | 0 | 3 | 6 | 7 | -1 | 9 |
알틸랄 | 6 | 0 | 0 | 6 | 1 | 15 | -14 | 0 |
시리아와 예멘 클럽은 국내 정정 불안으로 인해 홈 경기를 국외에서 개최해야 했다.[27]
| 알슈르타 | 알틸랄 | 알자우라 | 사파 베이루트 |
---|
알슈르타 | | 3-0 | 3-2 | 3-2 |
---|
알틸랄 | 0-2 | | 0-2 | 1-2 |
---|
알자우라 | 2-1 | 5-0 | | 1-0 |
---|
사파 베이루트 | 0-2 | 1-0 | 1-0 | |
---|
- 2012년 3월 6일: 알틸랄 1 - 2 사파 베이루트 (득점: 복샨; 아자르)
- 2012년 3월 7일: 알슈르타 3 - 2 알자우라 (득점: 레오나르도, 라피아; 자바르, 사아드) [28]
- 2012년 3월 20일:
- 알자우라 5 - 0 알틸랄 (득점: M・사아드, 무함마드, A・사아드)
- 사파 베이루트 0 - 2 알슈르타 (득점: 라피아)
- 2012년 4월 3일:
- 알자우라 1 - 0 사파 베이루트 (득점: 이브라힘)
- 알슈르타 3 - 0 알틸랄 (득점: 라피아, 알 와케드, 아와드)
- 2012년 4월 11일:
- 알틸랄 0 - 2 알슈르타 (득점: 홀무즈, 아바디)
- 사파 베이루트 1 - 0 알자우라 (득점: 아트위)
- 2012년 4월 25일:
- 알자우라 2 - 1 알슈르타 (득점: 카짐, 무함마드; 라피아)
- 사파 베이루트 1 - 0 알틸랄 (득점: 주그비)
- 2012년 5월 9일:
- 알틸랄 0 - 2 알자우라 (득점: 사바흐, 후세인)
- 알슈르타 3 - 2 사파 베이루트 (득점: 라피아, 하비브; 사디, 카두라)
5. 6. F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킷치 | 6 | 3 | 2 | 1 | 9 | 4 | +5 | 11 |
트렝가누 FA | 6 | 3 | 1 | 2 | 10 | 8 | +2 | 10 |
송람 응에안 | 6 | 2 | 1 | 3 | 6 | 9 | -3 | 7 |
탬피니스 로버스 | 6 | 1 | 2 | 3 | 3 | 7 | -4 | 5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킷치 | | 2-0 | 3-1 | 2-2 |
---|
송람 응에안 | 1-0 | | 3-0 | 0-1 |
---|
탬피니스 로버스 | 0-0 | 0-0 | | 0-1 |
---|
트렝가누 | 0-2 | 6-2 | 0-2 | |
---|
5. 7. G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촌부리 | 6 | 4 | 2 | 0 | 10 | 5 | +5 | 14 |
홈 유나이티드 | 6 | 3 | 1 | 2 | 9 | 6 | +3 | 10 |
시티즌 | 6 | 2 | 1 | 3 | 9 | 12 | -3 | 7 |
양곤 유나이티드 | 6 | 0 | 2 | 4 | 4 | 9 | -5 | 2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촌부리 | | 2-0 | 1-0 | 1-0 |
---|
시티즌 | 3-3 | | 1-2 | 2-1 |
---|
홈 유나이티드 | 1-2 | 3-1 | | 3-1 |
---|
양곤 유나이티드 | 1-1 | 1-2 | 0-0 | |
---|
G조에는 태국의 촌부리, 싱가포르의 홈 유나이티드, 홍콩의 시티즌, 미얀마의 양곤 유나이티드가 속해 있었다. 경기 결과 촌부리와 홈 유나이티드가 각각 1,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31]
5. 8. H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
클란탄 FA | 6 | 4 | 1 | 1 | 10 | 5 | +5 | 13 |
아레마 말랑 | 6 | 2 | 1 | 3 | 12 | 12 | 0 | 7 |
내비뱅크 사이공 | 6 | 2 | 1 | 3 | 10 | 12 | -2 | 7 |
에야와디 유나이티드 | 6 | 2 | 1 | 3 | 7 | 10 | -3 | 7 |
| width="50"| | width="50"| | width="50"| | width="50"| |
---|
아레마 말랑 | | 1-1 | 1-3 | 6-2 |
---|
에야와디 유나이티드 | 0-3 | | 3-1 | 2-0 |
---|
클란탄 FA | 3-0 | 1-0 | | 0-0 |
---|
내비뱅크 사이공 | 3-1 | 4-1 | 1-2 | |
---|
2012년 AFC컵 H조에서는 말레이시아의 클란탄 FA가 4승 1무 1패, 승점 13점으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인도네시아의 아레마 말랑이 2승 1무 3패, 승점 7점으로 조 2위를 기록하여 16강에 진출했다.[14] 베트남의 내비뱅크 사이공과 미얀마의 에야와디 유나이티드는 각각 승점 7점을 기록했으나, 골득실에서 밀려 탈락했다.
7. 토너먼트전
2012년 AFC컵 토너먼트전은 16강전, 8강전, 준결승전, 결승전 순으로 진행되었다. 16강전은 각 조 1위 팀의 홈에서 단판 승부로, 8강전과 준결승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4][29]
16강전에서는 쿠웨이트 SC가 알카디시야를 승부차기 끝에 꺾었고, 알이티파크는 알수와이크를, 아르빌은 네프치 페르가나를, 알웨흐다트는 카즈마를 각각 이겼다. 알슈르타는 홈 유나이티드를, 촌부리는 알자우라를, 아레마 말랑은 킷치를 각각 제압했으며, 클란탄 FA는 트렝가누와의 경기에서 승리했다.
8강전에서는 쿠웨이트 SC가 알웨흐다트를, 알이티파크가 아레마 말랑을, 아르빌이 클란탄 FA를, 촌부리가 알슈르타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쿠웨이트 SC가 알이티파크를, 아르빌이 촌부리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쿠웨이트 SC가 아르빌을 4-0으로 완파하고 2012년 AFC컵 우승을 차지했다.
7. 1. 16강전
16강전은 조별 리그에서 조 1위로 진출한 팀과 조 2위로 진출한 팀이 1위 팀의 홈에서 단판 승부로 열리는 방식으로, 2012년 5월 22일과 5월 23일에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 쿠웨이트 SC, 알이티파크, 아르빌, 알웨흐다트, 알슈르타, 촌부리, 아레마 말랑, 클란탄 FA가 8강에 진출했다.[14]
7. 2. 8강전
1차전은 2012년 9월 18일에, 2차전은 9월 25일과 9월 26일에 열렸다.[29] 조 추첨은 2012년 6월 14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의 AFC 하우스에서 진행되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쿠웨이트 SC الكويتar | 3 - 0 | 알웨흐다트 الوحداتar | 3 - 0 |
아레마 인도네시아 Arema Indonesiaid | 0 - 4 | 알이티파크 الاتفاقar | 0 - 2 |
아르빌 هەولێرckb | 6 - 2 | 클란탄 Kelantanms | 1 - 1 |
촌부리 ชลบุรีth | 5 - 4 | 알슈르타 الشرطةar | 4 - 2 (연장) |
7. 3. 준결승전
2012년 AFC컵 준결승전은 2012년 10월 2일과 10월 23일에 1, 2차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쿠웨이트 SC와 아르빌이 각각 알이티파크와 촌부리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
7. 4. 결승전
2012년 11월 3일, 이라크 아르빌에서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쿠웨이트 SC가 아르빌을 4-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9]